맨위로가기

파베우 나스툴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베우 나스툴라는 폴란드 출신의 유도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유도 선수 시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2번,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3번 우승했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유도에서 312연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2005년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향하여 프라이드, 월드 빅토리 로드 등에서 활동했으나, 금지 약물 복용 논란과 경기 판정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댄싱 위드 더 스타에 출연하고, 자서전을 출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남자 유도 선수 - 발데마르 레기엔
    폴란드의 유도 선수 발데마르 레기엔은 1984년과 1988년 올림픽 78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폴란드 유도 역사에 큰 업적을 남겼고, 일본의 오카다 히로타카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유도 팬들의 관심을 받았다.
  • 폴란드의 남자 종합격투기 선수 - 다미안 야니코프스키
    다미안 야니코프스키는 폴란드의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전직 레슬링 선수로, 레슬링 선수 시절 올림픽 메달과 세계 선수권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현재 KSW에서 활동하며 미들급 챔피언십 타이틀에 도전한 바 있다.
  • 폴란드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아네타 슈체판스카
    폴란드의 유도 선수인 아네타 슈체판스카는 61kg급을 주력으로 199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동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후 63kg급으로 전향하여 2004년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와 후쿠오카 국제 여자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 폴란드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발데마르 레기엔
    폴란드의 유도 선수 발데마르 레기엔은 1984년과 1988년 올림픽 78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폴란드 유도 역사에 큰 업적을 남겼고, 일본의 오카다 히로타카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유도 팬들의 관심을 받았다.
파베우 나스툴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베우 나스툴라
파베우 나스툴라
개인 정보
본명파베우 마르친 나스툴라 (Paweł Marcin Nastula)
출생일1970년 6월 26일
출생지바르샤바, 폴란드
거주지바르샤바, 폴란드
신장1.85m
체중241lb (약 109kg)
랭크6단
스타일MMA, 유도
스탠스사우스포
소속팀나스툴라 팀 (Nastula Team)
유도 경력
체급95kg급, 100kg급
올림픽1 (1996년)
세계 선수권 대회1 (1995년), 1 (1997년)
유럽 선수권 대회1 (1994년), 1 (1995년), 1 (1996년)
종합격투기 (MMA) 경력
활동 기간2005년–현재
승리 (KO)3
승리 (서브미션)2
승리 (판정)0
패배 (KO)3
패배 (서브미션)2
패배 (판정)1
무승부해당 사항 없음
무효 경기해당 사항 없음
메달 기록 (남자 유도)
올림픽금메달, 1996 애틀랜타, 95kg급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은메달, 1991 바르셀로나, 95kg급
금메달, 1995 지바, 95kg급
금메달, 1997 파리, 95kg급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금메달, 1994 그단스크, 95kg급
금메달, 1995 버밍엄, 95kg급
금메달, 1996 헤이그, 95kg급
은메달, 1999 브라티슬라바, 100kg급
유럽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동메달, 1989 아테네, 86kg급
동메달, 1990 앙카라, 86kg급

2. 유도 선수 경력

나스툴라는 1994년 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1,220일 동안 312연승을 기록하며 유도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이 기록은 체급 변경(–95kg에서 –100kg)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그는 2004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1]

나스툴라는 1989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와 1990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86kg급 3위를 기록했다.

2. 1.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나스툴라는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1]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1년 바르셀로나 대회에서 은메달, 1995년 도쿄 대회와 1997년 파리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최정상급 기량을 입증했다.[1]

대회순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1위 (금메달)
199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2위
199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1위
1997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1위


2. 2. 유럽 선수권 대회 및 기타 국제 대회

나스툴라는 1996년 하계 올림픽 외에도 수많은 유럽 및 세계 대회를 우승했으며, 세계 최고의 유도 선수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1994년 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나스툴라는 유도에서 무패를 기록하며 1,220일 동안 312연승을 거두고 모든 대회에서 우승하는 기념비적인 기록을 세웠다. 그의 연승은 체급이 변경되면서(–95kg에서 –100kg으로) 중단되었다.

; 95kg급 전적

연도대회순위
1991년유럽 선수권7위
1991년대한민국 국제3위
1992년폴란드 국제우승
1992년가노 컵우승
1993년프랑스 국제5위
1993년오스트리아 국제3위
1993년대한민국 국제3위
1994년프랑스 국제3위
1994년폴란드 국제우승
1994년유럽 선수권우승
1995년프랑스 국제우승
1995년폴란드 국제우승
1995년유럽 선수권우승
1996년프랑스 국제우승
1996년폴란드 국제우승
1996년유럽 선수권우승



; 100kg급 전적

연도대회순위
1998년폴란드 국제2위
1999년가노 컵2위
1999년폴란드 국제2위
1999년유럽 선수권2위
2000년프랑스 국제3위
2000년독일 국제2위
2000년폴란드 국제5위
2000년네덜란드 국제우승
2001년폴란드 국제우승
2002년독일 국제5위
2002년체코 국제우승
2004년독일 국제3위
2004년그루지야 국제2위


2. 3. 은퇴

2004년에 유도 선수로서 은퇴했다.[1]

3. 종합격투기 선수 경력

유도 선수로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후, 나스툴라는 2002년 요시다 히데히코와 호이스 그레이시의 경기를 보고 종합격투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의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과 계약을 맺고 사쿠라바 카즈시 등에게 훈련을 받으며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향했다. 유도에서의 뛰어난 경력 덕분에 브라질리언 주짓수의 릭슨 그레이시와 비교되기도 했다.

나스툴라는 프라이드에서 안토니우 호드리고 노게이라, 알렉산드르 예멜리야넨코 등 강자들과 연이어 대결하며 쉽지 않은 경기를 펼쳤다. 비록 패배했지만, 뛰어난 그래플링 실력을 바탕으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06년에는 에드손 드라구를 상대로 암바 승리를 거두며 종합격투기 첫 승을 신고했다. 그러나 조쉬 바넷과의 경기 후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양성 반응이 나와 선수 생활에 위기를 맞기도 했다.

프라이드 몰락 이후, 월드 빅토리 로드와 계약하여 센고쿠 4에 출전, 양동이와의 경기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TKO 패배를 당했다. 2008년에는 폴란드의 새로운 격투 단체 MCC와 계약했으나 단체 해산으로 무산되었고, 이후 KSW와 협상했지만 마리우시 푸지아노프스키의 기권으로 성사되지 않았다. 2010년에는 Fighters Arena와 계약, 마스다 유스케를 상대로 TKO 승을 거두며 성공적인 복귀전을 치렀다. KSW 24에서는 카롤 베도르프와 초대 KSW 헤비급 챔피언 자리를 놓고 경쟁했으나 패배했다.[7]

3. 1. 프라이드 (PRIDE)

2005년, 나스툴라는 일본의 종합격투기 단체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PRIDE)에 진출하며 종합격투기 선수로 데뷔했다. 그는 안토니우 호드리고 노게이라, 알렉산드르 예멜리야넨코와 같은 강자들과 대결했으나 패배했다.[3]

2005년 6월 26일, PRIDE GRANDPRIX 2005 2nd ROUND에서 안토니우 호드리고 노게이라와 데뷔전을 치렀으나, 마운트 펀치에 의한 TKO로 패배했다. 경험 부족과 체력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경기 초반 그래플링 공방에서 선전하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05년 12월 31일, PRIDE 남자 축제 2005에서 알렉산드르 예멜리야넨코를 상대로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패배했다. 초반에는 우세한 경기를 펼쳤으나, 체력이 고갈되면서 역전을 허용했다.

2006년 7월 1일,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2nd ROUND에서 에드손 드라구를 암바로 제압하며 프라이드 첫 승을 기록했다.[4]

2006년 10월 21일, 미국에서 개최된 PRIDE.32에서 조쉬 바넷에게 앵클 홀드로 패배했다. 경기 후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양성 반응이 검출되어 네바다주 체육 위원회로부터 9개월 출전 정지와 6500USD의 벌금을 받았다. 그는 금지 약물인 난드롤론과 흥분제인 페닐프로판올아민, 슈도에페드린, 에페드린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검사 결과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승패상대경기 결과대회명개최 연월일
×조쉬 바넷2라운드 3분 04초 앵클 홀드PRIDE.32 "THE REAL DEAL"2006년 10월 21일
에지송 드라구1라운드 4분 33초 암바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2nd ROUND2006년 7월 1일
×에밀리야넨코 알렉산드르1라운드 8분 45초 리어 네이키드 초크PRIDE 남자 축제 2005 꼭대기-ITADAKI-2005년 12월 31일
×안토니우 호드리고 노게이라1라운드 8분 38초 TKO (마운트 펀치)PRIDE GRANDPRIX 2005 2nd ROUND2005년 6월 26일


3. 2. 월드 빅토리 로드 (WVR)

월드 빅토리 로드와 계약을 맺고 센고쿠 4에 출전했다.[5] 2008년 8월 24일, 센고쿠 첫 출전에서 양동이와 대결하였는데, 2라운드에 급소 공격을 주장하며 급소를 잡고 무릎을 꿇었으나, 레퍼리에 의해 전의 상실로 판단되어 TKO 패를 당했다.[5] 양동이가 유도 선수인 나스툴라의 암바 시도를 간신히 벗어난 후, 나스툴라는 경기 초반에 수차례 급소를 가격당했고, 심판의 스탠딩 지시에 응답할 수 없었다. 그 순간 나스툴라는 보호대에 문제가 있음을 표시했지만, 심판은 이를 확인하는 대신 경기를 중단시키고 양동이의 TKO 승리를 선언하여 논란이 되었다.[5]

3. 3. KSW 및 기타 단체

2008년 나스툴라는 폴란드의 새로운 격투 단체인 MCC(Martial Combat Club)와 계약을 맺었으나, 단체가 해산되면서 경기는 취소되었다.[6] 이후 KSW와 여러 차례 협상했지만, 마리우시 푸지아노프스키가 팀 실비아에게 패한 후 KSW XIV에서 기권하면서 무산되었다. 2010년에 경기를 치르지 못하면 은퇴하겠다고 밝혔으나, 2010년 7월 Fighters Arena와 계약하며 복귀했다. 폴란드 우치의 아틀라스 아레나에서 열린 복귀전에서 마스다 유스케를 1라운드 26초 만에 TKO로 꺾었다.

KSW 24에서 초대 KSW 헤비급 챔피언 자리를 놓고 카롤 베도르프와 대결했으나,[7] 2라운드에 TKO로 패했다. 2014년 12월 6일 KSW 29에서 마리우스 푸지아노프스키에게 3라운드 종료 판정패했다.

승패상대경기 결과대회명개최 연월일
×마리우스 푸지아노프스키3라운드 종료 판정 0-3KSW 29: Reload2014년 12월 6일
×카롤 베도르프2라운드 2분 25초 TKO (파운딩)KSW 24: Clash of the Giants
【KSW 헤비급 타이틀 결정전】
2013년 9월 28일
케빈 아스플룬드1라운드 2분 33초 키 록KSW 22: Pride Time2013년 3월 16일
지미 앰브리츠1라운드 1분 50초 기권 (팔 부상)STC: Bydgoszcz vs. Torun
【STC 헤비급 타이틀 결정전】
2011년 10월 1일
안제이 우론스키1라운드 1분 09초 TKO (파운딩)Champions Night: Nastula vs. Wronski2011년 8월 20일
마스다 유스케1라운드 26초 TKO (파운딩)Fighters Arena Lodz 1: Nastula vs. Masuda2010년 9월 3일


  • '''Streetfighters 팀 컵'''
  • * Streetfighters 팀 컵 헤비급 챔피언십 (1회)
  • '''KSW'''
  • * 오늘의 경기 (1회)
  • STC 헤비급 선수권 (2011년)

4. 논란

PRIDE.32에서 조쉬 바넷과의 경기 후 약물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출전 정지와 벌금 처분을 받았다.[4] 또한 센고쿠에서 양동이와의 경기 중 급소 공격을 당했으나 심판 판정으로 TKO패를 당한 논란도 있었다.[5]

4. 1. 금지 약물 복용

2006년 10월 21일, 미국에서 개최된 PRIDE.32에서 조쉬 바넷과 대결하여, 앵클 홀드로 한판패했다. 경기 후 NSAC에서 실시한 약물 검사에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양성 반응이 검출되어, 9개월 출전 정지와 6500USD의 벌금을 받았다.[4]

나스툴라는 금지 약물인 난드롤론 뿐만 아니라 금지된 흥분제인 페닐프로판올아민, 슈도에페드린, 에페드린에도 양성 반응을 보였다. 나스툴라는 검사 결과의 진실성을 부인하며, 흥분제는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보충제로부터 체내에 흡수되었고, 근육 증가 물질인 난드롤론은 PRIDE에 온 이후 근육량이 전혀 증가하지 않았기에 자신에게 유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4. 2. 양동이 선수와의 경기 판정 논란

2008년 8월 24일, 센고쿠 첫 경기인 센고쿠 ~ 제4진 ~에서 양동이와 맞붙었다. 2라운드에 급소 공격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급소를 잡고 무릎을 꿇었으나, 심판은 이를 전의 상실로 판단하여 TKO 패배를 선언했다.[5] 나스툴라는 월드 빅토리 로드와 계약을 맺고 센고쿠 4에 출전하여 양동이에게 논란이 있는 TKO패를 당했는데, 양동이가 나스툴라의 암바 시도를 간신히 벗어난 후, 경기 초반에 수차례 급소를 가격당했고 심판의 스탠딩 지시에 응답할 수 없었다. 그 순간 나스툴라는 보호대에 문제가 있음을 표시했지만, 심판은 이를 확인하는 대신 경기를 중단시키고 양동이의 TKO 승리를 선언했다.[5]

5. 기타 활동

폴란드에서는 국민적 영웅으로, TV 출연과 사인 요청이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4] 2000년 자신의 유도 기술을 설명하는 책 ''나의 유도''를 출간했다.[2] 2009년 폴란드판 댄싱 위드 더 스타에 출연하여 최종 6위를 기록했다.[3]

6. 수상 및 타이틀

수상 내역


참조

[1] Sports-Reference
[2] 웹사이트 PRIDE 柔道金メダルのナツラ、桜庭から総合の基礎を学ぶ http://www.boutrevie[...]
[3] 웹사이트 Pride FC - Critical Countdown 2005 http://www.sherdog.c[...]
[4] 웹사이트 - UFC FIGHTERS PASS DRUG TESTS - MMA WEEKLY - Mixed Martial Arts & UFC News, Photos, Rankings & more http://www.mmaweekly[...] 2008-06-22
[5] 웹사이트 Gomi, Trigg get wins; Schultz knocked out http://www.sherdog.c[...] sherdog.com 2008-08-24
[6] 웹사이트 Martial Combat Club Gala MMA May 31 2008_pr http://www.thefightg[...] thefightgame.tv
[7] 웹사이트 KSW24: Bedorf vs Nastula and Jewtuszko vs Winner to fight for KSW belts. http://www.sherdog.c[...]
[8] 웹사이트 Tapology Profile https://www.tapology[...]
[9] 웹사이트 Nastula Judo Fitness Club http://www.nastula.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